목록패캠국비 (4)
코야온니의 티스토리 :)

0. 피어세션이란? 피어세션은 일종의 아이스브레이킹으로 프로젝트 이전에 수강자분들과 소통하며 친해지는 프로그램이다. 임의로 3~4명씩 팀을 이루면 주어진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게 된다. 총 6번의 피어세션이 예정되어 있는데 매번 주제도 팀원도 바뀌게 된다 이렇게 매니저님으로부터 공지 메세지가 온다. 메세지에 첨부된 팀 테이블이랑 피어세션 주제를 확인하고 소회의실로 이동하여 이야기하면 된다! 주제는 공유 드라이브에 기재되어 있다. 주어진 주제를 바탕으로 팀원들끼리 돌아가면서 대화하고, 내용을 작성해간다 1. 첫 번째 피어세션 나는 극극극내향성 거의 100% I 인간이라서 많이 부담스러워 했고 긴장됐는데 주제가 정해져있는지라 원활하게 진행이 되었다. 주제 역시 부트캠프 포트폴리오를 정리할 때..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에 참여하면서 기자단에 지원하고 선발이 되었다! 요즘 거듭되는 불,,합,,격에,, 자존감이 바닥을 치고 있는데 자꾸 패스트캠퍼스가 합격을 줘서 너무너무 기쁘다 :) 명확하게 포트폴리오를 남기고 기자단 수료 혜택도 받는 동시에 부트캠프를 지원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주고자 한다! 0.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공대생으로서 코딩? 파이썬? 하기 싫다,, 어렵다,,, 하면서 회피해왔다 그런데 점점 데이터 분석이 중요시되고 특히, 희망하는 공정 엔지니어 분야에서는 프로그램을 돌리는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나 또한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춰야 겠다고 몸써 느꼈던 적도 있다 키스트에서는 실험 데이터를 분석한답시고 엑셀로 데이터 하나하나 옮겨서 나의 판단 하에 업무를 진행했는데 하면서도 이게 맞나? 싶었..

2주차 (0626-0630) 패스트캠퍼스 데이터 분석 부트캠프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수학 / 통계 (온라인 강의 + 이동훈 강사님 ) (앞 부분과 겹치는 내용 꽤 있음) 통계학 : 일부분( 표본 )으로 전체( 모집단 )의 특성 추론 * BUT, 이와 같이 오차가 발생 → "통계학은 완벽하지 X" 정규 분포: m에 가까울수록 확률 밀도가 큼 ( 수치가 있을 가능성 ↑ ) → 많은 자연 / 사회 현상이 정규 분포를 따르므로 정규 분포 잘 이해해야 됨 기술 통계 (모든 데이터 → 수치로 요약) ↔ 추론 통계 (모든 데이터 중 표본 추출 → 가설 설정) 1. 기술 통계 탐색적 데이터 분석(EDA) - 통계적 분석과 달리 특정 모형을 가정하지 않음 : 변수 탐색 → 특성 파악 → 변수의 분포에 따라 통계적 방..

1주차 (0619-0623) 패스트캠퍼스 데이터 분석 부트캠프 OT 시작에 앞서 OT를 들으며 수료기준, 출석체크 방법, 강의 계획표 등을 안내 받았다 수료 기준 HRD-Net: 출석률 80% 이상 패스트캠퍼스: [출석률 20%, 퀴즈 20%, 일지 30%, 프로젝트 30%] 중 80% 이상 패스트 캠퍼스 수료 시 [온라인 강의 6개월, 패스트러너 커뮤니티 이용, 30일 취업 집중 관리]의 혜택이 있으니 열심히 수강해야 겠다 출석체크 방법 Zoom 강의: Zoom 출첵 9, 13, 18시 + QR 9, 18시 온라인 강의: Zoom 출첵 9, 13, 18시 Zoom 출첵의 경우 해당 시간에 Zoom에 참여하면 되고, QR의 경우 입실시 9시 10분까지, 퇴실시 5시 50분부터 HRD 앱으로 체크하면 된다..